지속 가능한 삶

콜레시스토키닌/Cholecystokinin 본문

Physiology/Hormone

콜레시스토키닌/Cholecystokinin

쓰부 2020. 5. 16. 16:58

지방 섭취 시 분비되어 포만감을 준다

 

십이지장 첫 구획에서 섭취한 음식물에 의해 자극되어 장내 분비세포에 의해 분비된다.

주로 지방(중쇄지방산 및 장쇄 지방산)과 단백질에 의해 촉진됨.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다 내려가면 분비가 중단된다.

단백분해효소 및 담즙에 의해 분비가 줄어든다.

CCK 분비세포는 미주신경 뉴런과 직접 연결되어 뇌와 장을 직접적으로 연결한다. -장은 제2의 뇌

 

CCK-1 소화기 수용체 : 주로 소화기관에 위치, 포만감

CCK-2 뇌 수용체 : 위, 뇌에 위치, 위산분비에 관여

 

CCK 작용

 -담낭을 수축시키고 오디 괄약근을 이완시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배출, 분비 저하되면 담석 생성증가

 -췌장에서 Trypsin(단백분해효소) 분비 촉진

 -췌관에서 중탄산과 체액 분비 촉진

 -췌장에 대한 영양 효과

 -위를 이완시키고 위 유문을 수축시켜 위에서 음식물 배출을 늦춘다 -> 포만감 연장

 -포만감 유발 -> 음식 섭취 감소